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아기 말하는 시기 언제일까?

정말 아기들은 금방금방 크는 것 같아요. 막상 낳아 놓으면 이렇게 컸나 할때가 한두번이 아니니까요 ㅎ 사실 처음에 낳았을 땐 엄마도 어리버리하고 이게 내 아이인가 싶을때도 있고 하는데 일년정도 지나니까 엄마 아빠도 하고 간단한 말은 알아듣기도 하고 점점 더 예뻐지고 정도 드는 것 같아요 ㅎ 저도 첫 아이는 언제 말할까, 언제 엄마라고 불러줄까, 조금 늦는 건 아닐까, 내 아이 발달이 정상인가 하는 계속되는 걱정을 하곤 했었는데 아이들마다 조금씩의 차이는 있으니 너무 조급하지 않게 생각하는게 중요한 것 같아요. 그리고 또 너무 기다리기만 하는것 보다는 아이의 발달을 한번씩은 체크해주는게 좋겠죠?ㅎ 아니가 부족한 부분이나 더 신경써줘야 할 부분이 있는지 말이에요. 아이의 언어발달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ㅎ 앞에..

육아정보 2020. 5. 18. 13:51
돌아기 우유량 얼마나 될까?

아기가 12개월이 되면 이유식도 완료기에 접어들게 됩니다. 하루에 이유식을 3번정도 먹게 되고 중간중간 간식을 먹게 되는데 아이들이 다 같이 정해진 양만 먹게되는 것은 아니에요. 어떤 아이들은 이유식을 잘 안먹는 아이들도 있고 모유를 먹는아이, 분유를 먹는 아이등 다양하기 때문이에요. 저는 실제로 셋째 아이가 이유식을 많이 안먹고 모유수유를 하기 원해서 어찌 해야할지 망설일 때도 많이 있었어요. 아이들 마다 차이가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 꼭 정해진데로만 지켜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하고 싶어요. 가이드라인이 있으면서 거기에 맞춰서 노력할 뿐이죠. 육아는 이론대로는 다 지켜지진 않는 것 같아요. 일반적인 돌 아기의 신체 발달정보를 보면 * 서 있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요(13개월 즈음) * 앉은 자세로..

육아정보 2020. 5. 14. 14:20
깨무는 아기 이렇게 고쳤어요.

저는 아이가 셋인 딸셋맘이에요. 첫째 둘째도 이런적이 없었는데 유독 셋째가 머리를 잡아당기고 할키고 깨물고 하더라구요. 저도 이런 경우가 처음이라서 많이 당황했어요. 수유를 하는데 유두를 아주 세게 깨물어서 정말 악소리가 나더라구요. 이때는 정말 아기고 엄마고 사람 대 사람이 되더라구요. 한번은 정말 저도 이성을 잃고 궁둥이를 한번 팡 쳐준적이 있어요. 이제는 아기가 돌이 되었고 이제는 눈치껏 알아들을 때가 됬다고 생각했어요. 유두를 물을 때는 얼굴을 정색하고 아파!라고 얘기해주고 안돼! 라고 얘기해주면서 할때마다 반복하니까 유두는 안물더라구요. 그런데 문제는 아기가 어떤 요구를 하고 싶을 때 마다 팔을 깨물던 다리를 깨물고 안아주면 안아주는대로 어깨를 깨물더라구요. 집에서는 소리라도 지르는데 밖에서는 ..

육아정보 2020. 5. 14. 01:17
환절기에 면역력을 높여주는 건강차를 알아보아요.

01. 계피차 간과 폐의 기를 고르게 해서 허약체질인 사람에게 도움을 주고 몸에 냉기를 없애주는 건강한 차 입니다. 수족냉증 있으신 분들에게 좋은 차에요~ 여름에는 계피가 많이 들어가는 수정과도 좋겠네요! 02.꿀차 숙취제거에 아주 뛰어나다고 알려지 꿀차는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서 체온이 상승하게 하고 감기가 있을 때 마시면 좋은 차에요~ 꿀이 들어간 화장품이 많이 나오는 만큼 피부에도 좋은 성분이 많이 들어있어서 과하지 않게 자주 드시면 좋아요. 03. 대추차 스트레스 완화, 근육이완에 좋은 차입니다.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어서 퇴근 후 자기전에 마셔주면 좋아요^^ 대추가 단맛이 있어서 아이들에게도 주면 좋아요. 대추는 그 외에도 혈관건강이나 피부미용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소염작용에도 좋아요. 대추는..

건강정보 2020. 4. 7. 14:02
이전 1 ··· 55 56 57 58 59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elp@abaeksite.com | 운영자 : 아로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